• 119th Anniversary
  • 숙명여자대학교
    • 한국어
    • English
    • 中文

숙명여자대학교 로고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역사문화학과

  • 학과소개
    • 전공소개
    • 교육 목표
    • 연혁
    • 학과 사무실 안내
  • 교수진
    • 전임교수
    • 퇴임교수
  • 교육과정
    • 학부
      • 교과목 소개
      • 전공로드맵
      • 교직이수
    • 대학원
      • 일반대학원
  • 학생활동
    • 학생회
    • 답사부
    • 학술부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학과 SNS
    • 앨범
    • 학사일정
모바일 메뉴 열기전체 메뉴 열기
  • 학과소개
    • 전공소개
    • 교육 목표
    • 연혁
    • 학과 사무실 안내
  • 교수진
    • 전임교수
    • 퇴임교수
  • 교육과정
    • 학부
      • 교과목 소개
      • 전공로드맵
      • 교직이수
    • 대학원
      • 일반대학원
  • 학생활동
    • 학생회
    • 답사부
    • 학술부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학과 SNS
    • 앨범
    • 학사일정
    • 한국어
    • English
    • 中文
  • 숙명여자대학교
모바일 메뉴 닫기

사이트맵

  • 학과소개
    • 전공소개
    • 교육 목표
    • 연혁
    • 학과 사무실 안내
  • 교수진
    • 전임교수
    • 퇴임교수
  • 교육과정
    • 학부
      • 교과목 소개
      • 전공로드맵
      • 교직이수
    • 대학원
      • 일반대학원
  • 학생활동
    • 학생회
    • 답사부
    • 학술부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학과 SNS
    • 앨범
    • 학사일정
전체 메뉴 닫기

교육과정

  • 홈
  • 교육과정
  • 학부
  • 전공로드맵
홈 바로가기
  • 교육과정
    • 학과소개
    • 교수진
    • 교육과정
    • 학생활동
    • 커뮤니티
  • 학부
    • 학부
    • 대학원
  • 전공로드맵
    • 교과목 소개
    • 전공로드맵
    • 교직이수
  • 프린트
  • 공유

전공로드맵

게시글 검색

교과목 해설

[21003204] 한국근대사의전개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HISTORY IN KOREA)

개항이후부터 해방이전까지 한국사의 변화과정을 다양한 주제를 통해 접근해본다. 서양과의 만남,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근대를 이루어가는 한국인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면서 세계사속에서 한국근대사의 의미를 알아본다.

Until liberation since the country's open, the transition of Korean history is handled by various themes. Korean modern history's meaning inthe world history is researched with Korean figures of many viewpoints in establishing modern times through contact with Western and Japanese colony time.

닫기

교과목 해설

[21003205] 한국근현대의사회와문화

(SOCIETY AND CULTURE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20세기로부터 현대 한국인의 삶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문화사에 대한 고찰을 한다. 우리 역사의 거대한 구조적인 흐름에 유의하면서도 삶의 구체적인모습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의 흐름을 이해한다.

Examin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Korean history from late 19c tothe just before Liberation through the political, economical, socialand diplomatic perspective.

닫기

교과목 해설

[21002780] 한국사자료의세계

(FUNDAMENTAL MATERIALS OF KOREAN HISTORY)

한국의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기간의 한국사에 관한 기초자료의 소개와강독을 통해 한국사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study materials needed for studying Korean history through reading sessions of the fundamental study materials regarding Korean history from the prehistoric era to themodern ages.

닫기

교과목 해설

[21060205] 한국생활사연구

(STUDIES ON KOREAN LIFE-STYLE HISTORY)

한국생활사의 개념과 분야에 대해서 연구한다.

The idea and field on korean life-style history is studied.

닫기

교과목 해설

[21002532] 한국여성사

(THE KOREAN WOMEN HISTORY)

원시사회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여성들의 생활을 연구하여 앞으로 여성의 지위와 삶을 향상시킬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본다.

Provides an insight on the lives of Korean women from the prehistoricera to present, and ways to improve the status and lifestyles of women.

닫기

교과목 해설

[21002535] 한국역사도시탐구

(RESEARCH IN KOREAN HISTORIC CITIES)

한국사의 주요 도시의 발달과정과 각 도시의 구조와 기능을 탐구한다.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major cities in Korean history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ach city are researched.

닫기

교과목 해설

[21003883] 한국의사상과예술

(THE THOUGHTS AND THE ARTS OF KOREA)

한국인의 구체적인 삶과 생활을 통해 전통 사상의 흐름과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한국의 건축, 조각, 공예, 미술, 음악 등 예술 여러 분야의 발전을 연계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Provides an understanding on the flow of the Korean people's thought and belief through a study on their detailed lifestyles. And also provides an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Korean arts.

닫기

교과목 해설

[21001936] 한국의역사가와역사관

(THE KOREAN HISTORIANS AND THE VIEW OF KOREAN HISTORY)

한국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역사가와 그들의 사상 및 역사관을 연구 검토한다.

Studies the important Korean historians in Korean history and their thoughts and views.

닫기

교과목 해설

[21001932] 해방이후의한국역사

(AFTER LIBERATION OF KOREAN HISTORY)

1945년 해방 이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역사발전의 과정과 그 의미를주체적으로 살펴 세계사속의 한국현대사의 위상을 설정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Approaches to the process and meaning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fter Liberation in 1945. Studies will understand the posi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in the world.

닫기
교육과정과목번호, 과목명, 인정교과구분, 이수단계, 학점/이론/실습, 개설학기, 주관학과, 교과목 해설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보여주는 표
과목번호 과목명 인정교과구분 이수단계 학점/이론/실습 개설학기 주관학과 교과목 해설
21003204

한국근대사의전개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HISTORY IN KOREA

21003204 전공선택 3학년 3/3.0/0.0 1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3학년 3/3.0/0.0 1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3205

한국근현대의사회와문화

SOCIETY AND CULTURE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21003205 전공선택 4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4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2780

한국사자료의세계

FUNDAMENTAL MATERIALS OF KOREAN HISTORY

21002780 전공필수 3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필수 3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21060205

한국생활사연구

STUDIES ON KOREAN LIFE-STYLE HISTORY

21060205 전공선택 석사 3/3.0/0.0 모든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석사 3/3.0/0.0 모든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2532

한국여성사

THE KOREAN WOMEN HISTORY

21002532 전공선택 2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2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2535

한국역사도시탐구

RESEARCH IN KOREAN HISTORIC CITIES

21002535 전공선택 3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3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3883

한국의사상과예술

THE THOUGHTS AND THE ARTS OF KOREA

21003883 전공선택 3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3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1936

한국의역사가와역사관

THE KOREAN HISTORIANS AND THE VIEW OF KOREAN HISTORY

21001936 전공선택 3학년 3/3.0/0.0 1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3학년 3/3.0/0.0 1학기 역사문화학과
21001932

해방이후의한국역사

AFTER LIBERATION OF KOREAN HISTORY

21001932 전공선택 2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전공선택 2학년 3/3.0/0.0 2학기 역사문화학과
  •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 1
  • 2
  • 3
  • 4

2025학년도 변경사항

변경 전 변경 후
교과목명 한국여성사 한국여성사
교과구분 전공필수 전공선택
교과목명 한국사자료의세계 한국사자료의세계
교과구분 전공선택 전공필수

25학번부터 자동 적용

2025학년도 이전 입학 학생들은 한국여성사, 또는 한국사자료의세계 이수 당시 시점을 기준으로 전공필수학점 계산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관련사이트
  • 관련사이트01
  • 관련사이트02
  • 관련사이트03
  • 관련사이트04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04310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청파동2가)
  • TEL. 02-2077-7263
  • FAX. 02-710-7800
  • E-MAIL: histo-culture@sookmyung.ac.kr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