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교과목 소개
과목명 가나다 순 정렬 / 교직과목 음영표
21001950 | 고려시대의정치와사회 (THE POLITICS AND SOCIETY OF KORYO DYNASTY) |
고려시대의 역사발전과정을 정치세력과 사회구조의 변천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 |
21001915 | 근대중국의개혁과혁명 (THE REFORMATION AND REVOLUTION OF MODERN CHINA) |
아편전쟁(Opium war) 이후 동양의 종주국으로서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근대화에 성공한 서양인으로부터 중국을 수호하기 위해 중국인이 수차례의 개혁과 혁명을 단행하며 서양제국주의에 대항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 |
21050164 | 논리및논술(역사) (LOGIC AND WRITING FOR HISTORY) |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고 역사와 관련된 사물과 텍스트를 해석하는 법과 이를 논리적인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계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21000309 | 동양근세사회의전개 (THE DEVELOPMENT OF THE PREMODERN ASIA) |
송 제국에서 아편전쟁 때까지 중국 근세 사회가 갖는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당시 서양보다 선진적이었던 문화발전과 그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물질문명의 여러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 |
21103325 | 디지털한국의문화유산(캡스톤디자인) (DIGITAL KOREAN CULTURAL HERITAHE(CAPSTONE DESIGN)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한국 문화유산의 분석과 재창조를 목표로 하며, 팀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유산 관련 디지털 콘텐츠 제작 또는 해당 문화유산을 홍보할 수 있는 홍보물을 제작한다 | |
21103823 | 미국사 (HISTORY OF THE UNITIED STATES) |
미국의 역사를 아메리카 대륙 발견 시대, 영국 식민지 및 독립혁명 시대, 남북전쟁과 재건시대 및 합중국으로의 발전기, 그리고 2차 세계대전 후 현재까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전반적 영역을 통해 개관한다. | |
21103824 | 독일사 (HISTORY OF GERMANY) |
독일사를 유럽사의 보편성과 중부유럽의 특수성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전반적 영역을 통해 개관한다. | |
21010021 | 서양고대사 (ANCIENT HISTORY IN THE WEST) |
그리스인들은 탁월한 창조성으로 서양문화의 토대를 만들었고, 로마인들은 그것을 실용화시켜 유럽화시켰다. 서양문명의 고전적 기틀을 형성한 그리스·헬레니즘·로마시대의 정치·사회·경제·문화 등의 전반적 역사를 주변 오리엔트 지역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해 고찰한다. | |
21010022 | 서양근대사 (MODERN HISTORY IN THE WEST) |
근대 유럽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시대, 절대주의시대, 그리고 계몽주의시대를 개관한다. | |
90003180 | 서양여성사 (WESTERN WOMEN’S HISTORY) |
서양 여성의 역사를 고대와 중세의 여성,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시대의 여성, 프랑스혁명과 1차 세계대전까지 페미니즘의 등장, 2차 세계대전과 여성해방운동까지 시대별로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변화하는 권력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
21001921 | 서양중세사 (MEDIEVAL EUROPE) |
중세 유럽 및 르네상스·종교개혁 시기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이해를 통해 유럽사 형성의 특징 및 발전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
21001922 | 서양현대사 (CONTEMPORARY HISTORY IN THE WEST) |
1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혁명과 공산주의, 파시즘과 나치즘의 등장, 냉전체제의 확립과 종식,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 그리고 유럽연합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서양현대사의 발전과정을 고찰한다. | |
21050163 | 역사교육론 (TEACHING MODELS EACH SUBJECT(HISTORY)) |
교과교육의 목표, 교과교육의 내용, 지도방법 등 교과교육의 전반에 대한 이론을 다룬다. | |
21009874 | 역사교재연구및지도법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ECHNIQUES OF HISTORY EDUCATION) |
교과서를 위주로 하는 강의 중심 수업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역사학습 방법론, 즉 강의안 작성법이나 강의법을 주로 교육하고, 기타 교재 도구 사용법에 대해 강의한다. | |
21103185 | 역사문화콘텐츠진로개발 (CAREER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
21103185 | 역사문화콘텐츠진로개발 (CAREER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
사회수요에 부합하는 전공별 진로교육의 일환으로 역사문화콘텐츠 진로개발을위한 전문가특강, 커리어로드맵 작성, 현장학습 등을 통해 학생의 자기주도적역량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
21003602 | 조선시대의사회와문화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
조선왕조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각 계층과 신분에 따른 문화와 생활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전통사회의 특징을 고찰한다. | |
21001931 | 조선시대정치사 (THE POLITICS HISTORY OF JOSEON DYNASTY) |
조선왕조의 정치적 쟁점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양반 국가의 성격과 변질에 대해 고찰한다. | |
21001909 | 테마중국현대사 (HISTORY OF MODERN CHINA) |
중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과 전환점 이해를 목표로 중국 현대사에 영향을 미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 현대사의 변화과정을 국제적인 관점에서 비교 및 분석한다. | |
21003942 | 중국사입문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중국 문명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동양의 역사를 개관함으로써 중국 시대사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 삼고자 한다. | |
21001923 | 프랑스사 (HISTORY OF FRANCE: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프랑스 역사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통해 개관한다. | |
21001937 | 한국경제생활사 (THE KOREAN ECONOMIC LIFE-STYLE HISTORY) |
한국 중세 국가의 경제구조와 경제운영, 농민의 경제생활, 상품유통구조 등을 학습한다. | |
21001929 | 한국고대의사회와국가 (THE SOCIETY AND STATES OF ANCIENT HISTORY OF KOREAN) |
선사문화로부터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및 발해까지의 한국고대역사의 형성과 역사발전의 과정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면에서 종합 고찰한다. | |
21003204 | 한국근대사의전개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HISTORY IN KOREA) |
개항이후부터 해방이전까지 한국사의 변화과정을 다양한 주제를 통해 접근해본다. 서양과의 만남,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근대를 이루어가는 한국인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면서 세계사속에서 한국근대사의 의미를 알아본다. | |
21003205 | 한국근현대의사회와문화 (SOCIETY AND CULTURE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
20세기로부터 현대 한국인의 삶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문화사에 대한 고찰을 한다. 우리 역사의 거대한 구조적인 흐름에 유의하면서도 삶의 구체적인모습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의 흐름을 이해한다. | |
21002780 | 한국사자료의세계 (FUNDAMENTAL MATERIALS OF KOREAN HISTORY) |
한국의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기간의 한국사에 관한 기초자료의 소개와 강독을 통해 한국사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
21002532 | 한국여성사 (THE KOREAN WOMEN HISTORY) |
원시사회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여성들의 생활을 연구하여 앞으로 여성의 지위와 삶을 향상시킬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본다. | |
21002535 | 한국역사도시탐구 (RESEARCH IN KOREAN HISTORIC CITIES) |
한국사의 주요 도시의 발달과정과 각 도시의 구조와 기능을 탐구한다. | |
21003883 | 한국의사상과예술 (THE THOUGHTS AND THE ARTS OF KOREA) |
한국인의 구체적인 삶과 생활을 통해 전통 사상의 흐름과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한국의 건축, 조각, 공예, 미술, 음악 등 예술 여러 분야의 발전을 연계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 |
21001936 | 한국의역사가와역사관 (THE KOREAN HISTORIANS AND THE VIEW OF KOREAN HISTORY) |
한국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역사가와 그들의 사상 및 역사관을 연구 검토한다. | |
21001932 | 해방이후의한국역사 (AFTER LIBERATION OF KOREAN HISTORY) |
1945년 해방 이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역사발전의 과정과 그 의미를 주체적으로 살펴 세계사 속의 한국현대사의 위상을 설정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